본문 바로가기
요리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 양념장 육수만드는법 황금레시피

by 찐부레오 2022. 6. 9.
728x90
반응형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

잔치국수 황금레시피, 양념장 육수만드는법 초간단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을 소개합니다. 

 

옛날에는 특별한 날 국수를 먹었다고하죠. 그래서 '잔치국수' 앞에 잔치가 붙잖아요. 요즘은 간단한 식사나 간식, 야식으로 쉽게 만들어 먹는게 국수인데요. 저희집 야식 단골메뉴도 잔치국수,비빔국수입니다.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의 핵심인 잔치국수 육수만드는법도 어려울것이 하나도 없어요. 액상 육수 엑기스나 분말 한두스푼이면 또는 다시마, 멸치, 버섯 등 육수재료가 다 담긴 육수팩이 잘 나와있어  10여분만 끓이면 진하고 구수한 육수가 뚝딱 만들어집니다. 소면 삶는 시간 잘 지켜 삶기만하면  쫄깃 보드라운 면발을 맛볼 수 있어요. 육수부터 소면삶는 시간까지 다양한 고명도 따로 볶아 올릴 필요없어요. 쉬운방법으로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 자세하게 담았습니다. 잔치국수 어려울것 하나도 없습니다. 오늘 소개해드리는 국수 레시피가 행복지수 올리는데 도움이되길 바랍니다.

 

 

 

반응형

 

 

 

 

잔치국수

 

국수 푸짐하게 삶아 놓았어요.

아이들이 하교하고 오면 학원가기전 먹으라고 시간 맞춰 잔치국수 육수, 소면 한 솥씩 만들어 놓았습니다. 몇일전 담아 놓은 맛있게 잘 익은 배추겉절이도 꺼내 덜어놓습니다. 입맛이 다 다른 식구들도 국수요리는 언제나 환영입니다. 아들은 항상 곱곱배기!

 

갑자기 궁금해서 찾아 본 칼로리

잔치국수 칼로리가 한그릇에 300Kcal, 밥한공기 칼로리와 거의 동일.

국수는 따로 반찬을 이것저것 먹지 않으니 한끼로 치면 잔치국수가 칼로리가 더 적습니다. 

 

 

 

 

 

 

얼마전까지 비싸서 장바구니에 넣기 망설여지던 애호박도 제법 싸졌어요. 양파, 애호박, 부추, 당근, 표고버섯 등 다양한 야채를 넣고 진하고 깊은 채수를 내고 멸치다시마 또는 마른새우를 넣어 해물맛까지 더하면 맛집에서 먹는것만큼 맛있는 잔치국수 육수가 만들어지지요.

 

국물이 맛있는 또하나의 비법은 바로 양념장인데요. 짭조름하고 매콤하고 참기름이 들어가 꼬소한 맛가지 더해지는 양념장을 넣으면 그야말로 날개를 다는겁니다. 양념장은 꼭 곁들여야하는 찐빵에 앙꼬같은 존재!!

 

 

 

 

 

잔치국수

 레시피는 1~2인분 기준입니다. 육수는 2인분 넉넉한 양이예요. 더 많은 양을 만든다면 야채양과 육수에 간하는 국간장 등 2배로 늘려 넣으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럼 잔치국수 육수 만들기부터 맛있는 양념장 황금레시피까지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 알아보겠습니다.

 

 

 


잔치국수 레시피

준비재료

소면 100~120g(1인분)

당근 1/5개

애호박 1/4개

달걀 1개

 

잔치국수 육수

물3컵(540ml)

육수엑기스 2숟

국간장 2.5숟

꽃소금 0.5숟

 

양념장

고추가루 1숟, 설탕 0.5숟

진간장 1숟, 다진마늘 0.5숟

참기름 1숟, 깨소금 1숟

+다진 청양고추, 쪽파(대파) 1숟씩

 

*밥숟가락 10g,종이컵 180ml기준.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

 

도마에 채썰려 있는 양파, 당근, 애호박

 

야채 준비

 

양파 반개_채썰기

당근 1/5개_채썰기

애호박 1/4개_채썰기

 

육수에 들어가는 야채는 3가지 준비했습니다. 

표고버섯, 부추등을 추가하셔도 됩니다. 맛있어 보이는 색깔을 맞춘것도 있고 채수를 이용해 육수가 더 맛있어지기 위함이니 다양하게 넉넉하게 넣어주면 좋습니다.

 

 

 

 

 

물 3컵+야채 끓이기

 

냄비에 물 3컵(540ml)를 넣고 채썬 야채를 넣고 가스불을 켭니다.

 

 

 

 

 

 

 

잔치국수 육수 만드는법

 

잔치국수 육수로 멸치다시팩이 있다면 활용합니다. 동전육수, 멸치다시다, 맛선생, 연두, 쯔유, 마른새우 등 평소 육수 만들기하던 개인적인 방법이 있다면 그 방법으로 만들어주면 돼요.  전 <처음부터육수>엑기스 2숟으로 육수 베이스를 만들었어요.

 

그냥 물만 넣고 끓여도 괜찮습니다. 물이 끓으면서 야채에서 채수도 나올것이고 국간장으로 간을 할 것이기때문에 멸치다시마육수를 내면 더 없이 좋겠지만 없으면 생략!

 

 

 

 

 

양념하기_2분

 

국간장 2.5숟, 꽃소금 0.5숟

 

채소가 익으면 간합니다. 육수가 간간해야 맛있어요. 

국간장과 꽃소금으로 간해 싱겁지 않게하고 채소가 충분히 익도록 2분가량 더 끓여줍니다.

 

 

 

 

 

 

 

계란물

 

계란 1~2알정도 풀어줍니다.

 

 

 

 

 

 

끓는 잔치국수 육수에 계란물을 둘러 붓는

 

끓고있는 냄비 둘레로 빙 둘러가며 계란물을 넣어주고 젖지말고 바로 불을 끕니다.

 

 

 

 

 

 

잔치국수 육수

잔열에 의해 계란이 금방 익습니다. 계란을 넣고 젓지 않는 이유는 국물이 탁해지지 않기 위해서예요.적당히 덩어리감이 있어야 건져먹기도 편하고 국물이 탁해지지 않습니다.

 

 

 

 

 

고명 양념장 만들기

 

쪽파(대파)와 청양고추 적당히 다져 준비합니다. 청양고추는 날이 더워지면 매운맛이 강해집니다. 겨울에 한개정도로 매운맛을 내는데 사용했다면 여름엔 반개, 1/3개 정도 넣어도 제법 맵습니다. 전 반개만 다져 넣었어요. 

 

 

 

 

 

그릇에 간장&#44;고추가루 다진청양고추&#44;다진파를 넣고 섞은 양념장

고추가루 1숟, 설탕 0.5숟, 진간장 4숟, 다진마늘 0.5숟, 참기름 1숟, 깨소금 1숟과 다진 청양고추, 쪽파(대파)를 넣고 잘 섞어 준비해둡니다.

 

 

 

 

 

 

잔치국수 양념장
잔치국수 양념장

 

 

 

 

 

 

 

끓는물에 마른 소면을 넣어 삶는

 

소면 삶기

 

소면 1인분은 100~120g(100원짜리 동전) 굵기정도 소면을 쥐었을때 엄지 한마디 쥐어지면 거의 1인분이라 보시면 됩니다. 육수가 2인분정도 나오니 넉넉하게 2인분 삶습니다.

 

 

 

 

 

끓는 소면물에 찬물 한컵을 붓는

 

소면 삶는 시간

 

보통 4분정도 삶습니다. 저어가며 끓인 소면이 파르르 끌어올라 넘치려고 할때 찬물 1컵을 부어주고 다시 끓어 거품이 부풀어 오르만 그만 끓여도 됩니다.

 

 

 

 

 

소면을 젓가락으로 건져 올린

 

 

 

 

 

 

삶은 소면을 찬물에 씻는

 

전분끼 충분히 세척

 

채바구니에 바쳐 끓던 뜨거운 물은 버리고 바로 찬물이나 얼음물에 넣어 두손으로 비벼가며 뿌연 전분기를 충분히 씻어줍니다. 

소면에 물기가 많으면 잔치국수건 비빔국수건 국물과 양념이 싱거워지니 소면 물기는 굵은 채망에 올려 충분히 빼주는것이 좋습니다. 물기빼기!! 국수 맛있게 마는 방법중하나입니다.

 

 

 

 

 

 

 

잔치국수

 

잔치 국수 완성!!

 

잔치국수 맛있게 만드는법 완성되었습니다. 잔치국수의 핵심인 육수부터 양념장까지 완벽합니다. 

면기에 국수를 담고 따뜻한 육수를 부어주고 양념장까지 올려줍니다. 양념장은 한숟정도 넣어 말아 먹어보고 취향에 따라 추가하면 됩니다. 

 

 

 

 

 

잔치국수

 

깔끔하고 시원한 국물에 딱 떨어지는 양념장이 섞이면 원샷으로 들이킬만큼 맛있는 육수 국물이 됩니다. 국물 한방울까지 남김없어 먹었어요.

 

멸치다시마육수에 채수까지 더해져 국물이 가볍지 않고 개운합니다. 계란물을 풀고 젖지 않으니 국물이 맑고 깔끔합니다. 

 

 

 

 

 

잔치국수

요즘 한참 자주 만들어 먹는 국수요리예요. 제일 선호하는건 덥지만 뜨끈한 국물의 호로록 술술 넘어가는 잔치국수예요.아이들도 국물하나 남기지않고 비워내는 육수가 맛있는 최고의 간식입니다.소면 넉넉하게 삶고 육수도 넉넉하게 끓여 놓아 하루종일 먹기도하고요. 뒤돌아서면 금방 배가 꺼지고 또 먹고싶고 또 먹고싶고 그래요. 밥맛없다면 잔치국수 맛있게 말아 드셔보세요. 점심메뉴 추천입니다.

 

 

--

오늘도 고생 많으셨어요 :D

비타민C, 레몬수 같이 상큼한 긍정에너지를 보냅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